아이들의 성장에 있어서 수면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수면은 뇌 발달, 신체 발달, 감정 발달, 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유아기뿐만이 아니라 청소년기까지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에 아이들의 적절한 성장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 시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미국 국립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 NSF)이 밝힌 권고안을 소개합니다.
만 나이 | 권장 수면시간 |
0~3개월 | 14~17시간 |
4~11개월 | 12~15시간 |
1~2세 | 11~14시간 |
3~5세 | 10~13시간 |
6~13세 | 9~11시간 |
자세한 설명은 아래쪽에서 하겠습니다.
1. 신생아의 수면 (0~3개월)
NSF에서는 신생아가 하루에 14~17시간은 자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단, 신생아는 자주 수유를 해야 하기에 한 번 잘 때 짧게 자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생아 시절에는 밤 중에도 쭉 자는 경우가 드뭅니다. 수유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신생아를 돌보는 양육자들은 수면 패턴을 맞추기 위해 애쓰는데요, 사실 신생아들이 수면 패턴이 바뀌는 것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이에 사실상 미국수면의학협회(AASM)와 미국 소아과학회(AAP)에서는 생후 4개월 미만의 아기에게 권장되는 수면량을 기재하지 않고 있습니다. 즉, 아이에 따라 다르다는 것입니다.
2. 아이들은 왜 잠을 많이 잘까?
이 시기 아이들은 엄청난 성장기입니다. 그리고 수면은 두뇌의 뉴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3. 아이들이 낮잠을 자는 것은 정상일까?
신생아는 낮에 최소 3~4시간 정도 낮잠을 잡니다. 만 6세가 되면 낮잠 시간이 줄어들지만, 일반적으로 만 5세 이전까지는 매일 2~3시간의 낮잠을 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잦은 낮잠은 유아들이 기억을 통합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합니다. 또한 낮잠은 학습과 두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밤에 깨지 않고 자는 통잠, 언제부터 가능할까?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6개월부터 통잠을 잘 수 있습니다. 단, 이는 아이들마다 다릅니다. 많은 생후 6~12개월 아기들이 그때까지도 6~8시간 잠을 자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밤에 6시간 이상 연속으로 못 자는 6~12개월 아이는 37.6%, 12개월 이상 아이는 27.9%입니다. 즉, 10명 중 3~4명 6개월, 12개월이 지나도 통잠을 못 잔다는 뜻입니다. 이 숫자를 8시간으로 늘려보겠습니다. 밤에 8시간 이상 자지 않는 6~12개월 아이는 57%, 12개월 이상 아이는 43.4%입니다. 즉, 10명 중 4~5명은 8시간 이상 못 잔다는 뜻입니다.
5. 통잠 자기, 늦어져도 발달에 문제 없을까?
학계에서는 하루 중 총 수면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통잠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 확인된 바 없습니다.
6. 수면 시간이 더 긴 미숙아들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들은 훨씬 더 많이 잡니다. 이 아기들은 90%의 시간을 자는 데 사용하는데요. 수면 양은 얼마나 일찍 태어났는지, 그리고 아기의 건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7. 아이가 충분히 수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아이들의 25% 정도는 수면으로 인해 고민합니다. 아이들도 수면 장애를 겪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문제 징후가 보이면 부모는 자녀와 이에 대해 대화를 하고,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합니다.
8. 요약
생후 3개월 미만의 아이들은 수면 패턴이 각자 다릅니다. 통잠은 생후 6개월이 지나야 잘 수 있으며, 그렇다고 해서 모든 아이들이 12개월 전에 통잠을 자는 것은 아닙니다. 밤에 자지 않더라도 낮잠으로도 충분히 성장을 할 수 있으며, 미숙아들은 더 오래 잡니다. 만약 아이가 충분히 수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이에 대해 터놓고 이야기하고, 의사와 상담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아기 뇌진탕, 두개골 골절 증상 (침대에서 떨어졌을 때) (0) | 2022.07.16 |
---|---|
신생아가 우는 이유, 울음 그치는 방법 (0) | 2022.07.13 |
안전하고 쉽고 빠르게 아기 손톱 깎는 방법 TOP 6 (0) | 2022.07.12 |
아기 해열제 먹이는 체온 기준 (미열도 해열제 먹여야 할까?) (0) | 2022.07.11 |
아기 딸꾹질 멈추는 방법과 예방하는 방법 (0) | 2022.07.10 |
댓글